산 행 일: 2012. 6. 9(토)
날 씨: 맑음
동 행: 산내음산악회 정기산행
산행구간: 상의 주차장 - 대전사 - 주왕산(721m) - 칼등고개(후리메기 사창골 갈림길, 길주의) - 가메봉(882m) - 절골갈림길 -
큰골 - 내원마을 - 주왕굴 - 대전사 - 상의 주차장(원점회귀)
산행거리: 약 17km
시 간: 상의 주차장 산행시작(11:10) --> 주왕산(12:00) --> 가메봉 전 식사(13:00-13:20) --> 가메봉(14:00) -->
절골 갈림길(14:20) --> 내원마을(14:50) --> 금은광이 갈림길(15:10) --> 상의 주차장 산행종료(17:10)
6시간
(산행기)
08.8월 산내음에서 다녀간 주왕산을 다시 찾는다. '90년대 초 청주에서 친구와 같이 몇번 버스 갈아타면서 겨우 밤늦게
도착한 청송, 칙칙한 여관방에서 유하고 아침에 다시 버스타고 주왕산 상의 주차장에서 내려 비오는 산길을 총각 둘이
쓸쓸히 걸었던 추억이 고스란이 묻어 있는 곳으로 오늘 잃어버렸던 기억의 한 조각을 맞춘 느낌이다.
오늘 산행코스는 상의 주차장에서 대전사 - 장군봉 - 월미기재 - 금은광이 삼거리 - 3,2,1폭포 - 상의주차장으로 하산하는
원점 회귀코스이나 회장님께 양해를 구하고 장군봉 반대편 능선인 주왕산 능선을 홀로 진행 하기로 한다. 이 코스는 09.4월
낙동정맥 종주시 주왕산 능선을 바라보기만 해던 기억이 있어 가보푼 곳 이었다. 사실 주왕산은 낙동정맥 구간에 들어가
있으나 주왕산, 가메봉을 둘러싼 외곽 능선인 대관령 - 왕거암 - 먹구등을 지나 북쪽으로 이어져 사실상 주왕산 능선은 지나가질
않는다.
7시경 출발한 버스는 11시경 상의 주차장에 도착한다. 산행거리가 길어 회원님들 산행시간과 맞추기 위해 배낭메고 살짝 혼자 빠져나와 빠르게 진행하고 대전사를 지나 장군봉 갈림길을 지나고 오른편으로 주왕산 오름길이 보이고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초반 가파른 오름길이 40분여 이어지고 능선에서 조금 올라서자 주왕산 정상에 선다.
▲ 진행코스
▲ 낙동정맥 종주시 주왕산 구간(빨간코스) / 내가 진행한 코스(빠란 코스)
♣주왕산 설명
경북 청송군과 영덕군에 걸쳐 있는 주왕산은 기암괴석과 거대한 암벽이 병풍을 두른 듯 장관을 이루고 있어 신라 때는 석병산이라 부르다가, 당나라때 주왕이 반란에 실패하여 이곳으로 숨어들었다 하여 주왕산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주왕산은 태행산(933m), 대둔산(905m), 두수람(927m), 가메봉, 왕거암봉 등 여러 산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네 개의
계곡으로 나누어 지는데 달기골 주변을 월외계곡, 주방천 일대를 외주왕계곡, 주왕산 남동부 계곡을 내주왕계곡, 주산저수지
일대를 주산지계곡이라 한다.
주왕산은 대전사에서 제3폭포에 이르는 주방천 주변에는 자연경관이 뛰어나고 많은 명소들이 있는데, 주왕과 마장군이 격전을 벌였던 기암, 청학과 백학이 살았다는 학소대, 제1,2,3의 세 개의 폭포로 이루어진 주왕산폭포, 급수대, 망월대, 시루봉, 주왕암, 주왕굴 등 명소들이 즐비하다.
주왕산 입구에는 약 1,300년전 신라 문무왕때 의상대사가 창건한 고찰 대전사가 자리잡고 있으며 부속암자로는 주왕의 딸 백련공주의 이름을 딴 백련암과 주왕의 이름을 딴 16나한이 있는 주왕암이 있다.
주왕산 등산기점은 월외리, 상의리, 이전리 등이 있는데 주로 상의리 주차장에서 많이 시작한다. 상의리 주차장에서 10분 정도 올라가면 상의매표소가 나오고 그 옆에는 대전사가 자리잡고 있다. 대전사에서 우측으로 몇분을 올라가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주왕산으로 바로 올라가는 능선길과 주왕암과 제1폭포로 올라가는 길이 갈린다.<펌자료>
♣ 대전사
주왕산 북서쪽 초입에 있는 이 절은 신라 문무왕 12년(672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절이다. 또한 고려 태조 12년(919년) 눌옹이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다. 절이 있는 산과 절의 이름은 주왕의 설화에서 유래하며, "주왕내기"에 다르면 중국 당나라의 주도라는 사람이 스스로 후주천왕이라 칭하고 군사를 일으켜 당나라에 쳐들어 갔다가 크게 패하고 신라로 건너와 주왕산에 숨었다. 이에 당나라에서 신라에 주왕을 없애달라고 부탁하자 마일성 장군 오형제를 보내 주왕의 무리를 죽였다고 한다. 그 뒤부터 주왕이 숨었던 산을 주왕산이라 하고, 절은 주왕의 아들 대전도군의 이름을 따서 대전사라 하였다는 것이다. 절 이름은 나옹화상 혜근이 붙였다고 한다. 부속암자로는 백련암과 주왕암이 있다.<펌자료>
▲ 장군봉 갈림길
▲ 주왕산 갈림길(우측으로 진행)
▲ 맞은편 장군봉에서 이어진 금은광이 능선
▲ 주왕산 정상
▲ 정상 이정표
많은 인파가 몰려있는 정상에 도착하고 바로 후리메기 방향으로 5분여 진행하자 후리메기 삼거리 이정표가 보이고 이곳에서
능선방향으로 목책이 쳐져 있고 정규 등산로는 후리메기 삼거리인 좌측으로 이어지는데 이곳으로 진행하면 사창골로 내려서게 되어 이곳 칼등고개에서 목책을 넘어 능선으로 올라서면 낙동정맥 지도상 782봉에 도착된다.
▲ 칼등고개 이정표
이곳에서 후리메기 삼거리 정규 등산로를 버리고 목책을 넘어 능선방향으로 직진하게 되고 비정규 등산로로 진행하게되는데
희미한 길들이 이어지고 지도상 782봉에 도착되고 조망은 없고 우측으로 조금떨어진 곳에 묘지가 자리잡고 있다. 782봉에서
잠시 쉬며 지도를 보고 가야할 길을 찾으면서 10여분 시간허비를 하는데 결과적으로 우측방향인 묘지방향으로 진행하면 안되고 봉우리에서 바로 직진하면 흐릿한 길이 보이고 조금 내려서면 뚜렷한 등산로가 이어지고 이어 몇개의 봉우리를 오르내리고
배가 고파 폐묘지가 있는 곳에서 홀로 호젓히 식사를 맛있게 한다.
▲ 묘지가 있는 곳에서
▲ 조촐한 밥상을 펴고 달게 먹는다.
20여분 식사를 끝내고 30여분 능선따라 진행하자 후리매기 삼거리인 사창골에서 가메봉으로 올라오는 정규등산로와 만나게
되고 조금 진행하면 가메봉 정상에 선다. 가메봉 정상에서의 조망은 대관령 - 왕거암 - 먹구등으로 이어지는 외곽 낙동정맥
능선이 한눈에 들어올 정도로 시원스럽다.
▲ 가메봉 가는 도중 만나는 고목
▲ 칼등고개부터 이곳까지 진행하면서 처음 만나는 표지기
▲ 정규 등산로와 만나게되는 첫번째 이정표
- 이정표 뒤편으로 지나옴.
▲ 가메봉 정상 - 정상석은 없고 곳곳 암반에서의 조망이 뛰어나다.
▲ 가메봉 정상에서 이어진 왕거암(낙동정맥 능선)
▲ 가메봉에서 바라본 좌측으로 이어진 왕거암 낙동정맥 능선
▲ 09.4월 낙동진행시 왕거암 사진
▲ 09.4월 먹구등에서
▲ 09.4월 느지미재에서 - 이곳에서 좌측으로 가면 큰골을 거쳐 내원마을로 내려설수 있다.
▲ 가메봉 정상 암봉 풍경
▲ 가메봉 정상 풍경
정상에서 10여분 쉬고 10여분 내려서면 절골 갈림길에 이르고 이곳에서 직진은 왕거암 방향으로 출입통제가 되어 있고 우측으론 절골주차장 방향이고 나는 좌측, 내원마을 방향인 대전사 쪽으로 진행하고 20여분 빨리 내려가니 박새가 천지이고 느지미재
갈림길을 지나면서 큰골을 낀 내원마을 터가 너른 집터들이 곳곳에 보인다. 큰골 계곡따라 등로가 이어지고 편안하게 진행이 된다.
▲ 절골갈림길 이정표 - 좌측으로 진행
▲ 큰골 계곡
멋진 계곡 풍경이 이어지고..
▲ 너른 내원마을 터
▲ 멋진 계곡 풍경
▲ 집터
▲ 내원마을 유래
이 내원마을 옛길을 걸으면서 90년 초 친구와 걸었었던 기억이 불현듯 떠오르고 그때 빨간 지붕의 담배건조실이 있는 곳에서
사진도 찍어던 기억이 흐르면서 잃어버렸었던 기억의 조각이 맞추어지는 듯 하다. 그때 상의 주차장에서 폭포를 보고 내원마을
길로 들어서서 마을까지 진행하다 다시 되돌아 나왔었던 기억이...
▲ 계속 큰골의 멋진 풍경이 이어지고
이곳 코스는 간단한 여름 트레킹길로 좋을 듯하고 알탕을 할 곳은 많은데 회원님들과의 시간때문에 참고 진행하는데 금은광이
갈림길에서 회장님을 비롯한 후미팀들을 만나 안심이 되고 ..
▲ 금은광이 갈림길 이정표
▲ 주왕산의 비경인 학소대 풍경
학소대 지나 주왕암 갈림길 전에서 계곡에 몰래 들어가 시원하게 앃고 옷을 갈아 입고 몇몇 회원들과 같이 주왕굴을 들려 주차장으로 진행하고 주차장 전 상가에서 시원스레 어수리전과 함께 맥주한잔하고 즐거웠던 산행을 마친다.
▲ 주방천에서 바라본 기암 풍경
'일반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악산 산행기(2012.7.7, 토) (0) | 2012.07.10 |
---|---|
월악산 산행기(2012.6.23, 토) (0) | 2012.07.01 |
삼성산(관악산) 산행기(2012.6.2, 토) (0) | 2012.06.06 |
민주지산 산행기(2012.5.27, 일) (0) | 2012.06.06 |
지리산 산행기(2012.5.6, 일) (0) | 2012.05.11 |